리액트 컴포넌트 설계에 대하여리액트 설계의 중요성과 원칙을 탐구하며, 관심사 분리, 단일 책임, 제어 위임 등의 패턴을 활용해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한다.Mar 21, 2025
블로그 리뉴얼 및 소감4년간 블로그를 운영하며 느낀 점을 정리해 블로그 리뉴얼, 기술 선택, 도메인의 중요성, 글쓰기 철학, 그리고 게으름을 극복하는 고민을 담았다.Mar 02, 2025
당신의 타입스크립트는 안녕하십니까TypeScript는 웹 개발의 표준이 되었지만, 이변성과 옵셔널 타입 등의 예외로 인해 예상치 못한 런타임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타입 시스템을 깊이 이해해야 한다.Feb 08, 2025
React Hook은 조건부로 쓰일 수 있을까React에서 useState, useEffect 등의 내장 Hook은 조건부로 사용할 수 없다. 단, useContext나 내장 Hook을 사용하지 않는 커스텀 Hook은 조건부 사용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컴포넌트를 조건부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Mar 03, 2024
2022년을 돌아보며 2023년의 방향을 정해보는 글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하며 개발자의 체급을 높이고자 했던 한 해를 돌아보고, 성취와 아쉬움을 정리하며 내년 목표를 설정한 회고.Dec 31, 2022
갑자기 백엔드가 공부해지고 싶어진 이유나는 지금 3년 차 프론트엔드 개발자다. 프론트엔드 기술이 어느 정도 익숙해진 상태고 리액트 컴포넌트 설계나 상태 관리, 성능 등에 대해 많은 공부와 고민을 하였고 관련 블로그 글도 많이 올렸다. 백엔드 관련한 서버 기술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플로우만 알고 Express나 NestJs를 이용해서 몇 번 따라서 구현만 해본 수준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무에서 서버 관련 이슈를 만날 때는 지레 겁먹은 적도 많다. 서버로 렌더링을 하는 SSR 같은 경우도 뭔가 막연히 서버를 알고 있기 때문에 이미 서버 관련해서 미리 세팅돼 �Apr 12, 2022
타입스크립트는 왜 낯설까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로 가기 위한 길이다.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 언어라는 것이다. 타입스크립트는 태생적으로 자바스크립트를 모태로 하고 있고 자바스크립트의 한계를 넘기 위해서 탄생했다. 자바스크립트 구문에 타입을 추가해서 단순한 프론트앤드 외의 분야에서도 자바스크립트 구문으로 좀 더 안정적인 개발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Mar 16, 2022
리액트 컴포넌트 내부 함수 선언과 재생성에 관하여리액트 컴포넌트 내부 함수 선언과 재생성 방지 방법을 다룬다. useCallback을 활용한 메모이제이션과 외부 함수 선언의 장단점을 설명한다.Feb 07, 2022
2021년을 돌아보며 2022년의 방향을 정해보는 글첫 이직과 새로운 환경에서의 적응, 개발자로서의 성장과 체급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고민하며 한 해를 돌아본 기록.Dec 25, 2021
프론트앤드 웹 성능 최적화 가이드 - 성능 지표, 데이터 로드 최적화웹 성능 최적화 개요 및 지표, 초기 설정, 데이터 로드 최적화 기법을 다룬다. 최소한의 데이터로 빠르고 최적의 화면을 제공하는 전략을 탐구한다.May 09, 2021
프론트앤드 웹 성능 최적화 가이드 - 렌더 및 실행 최적화렌더링 및 실행 최적화를 위한 성능 개선 기법을 다룬다. FCP·TTI 개선, 레이아웃 변경 최적화, JS 실행 최적화 등의 전략을 탐구한다.May 09, 2021
웹 접근성 가이드웹 접근성은 모든 사용자가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으로, 시멘틱 태그 활용, 키보드 조작 지원, 대체 텍스트 제공 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May 05, 2021
내가 생각하는 개발자의 기본기개발자의 기본기는 공통된 개발 환경 아래 상호 간의 약속을 공부하는 것이다. 다같이 하나의 큰 대서사시를 써야 하는 동료를 뽑는다면 이 개발 환경에서 지켜지는 여러 약속들을 많이 알수록 서비스를 오래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팀원이 늘어날수록 코드에 관여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른 불안정성도 크다. 개발 환경 아래 약속을 공부하는 것은 이전에 작성한 팀원이 작성한 코드 저변에 깔린 어떤 철학을 이해하기 에도 유리하다고 생각한다.Feb 20, 2021
블로그를 시작하며블로그를 시작하며 커뮤니티에 도움이 될 글을 고민했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거나 기존 기술을 쉽게 풀어쓰는 글이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개발 에세이, 개발 서적 후기, 개발 인문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특히 개발자의 사고 과정과 배경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Feb 13, 2021